운동합시다 재활치료센터 이미애 팀장

운동합시다.

무릎 퇴행성관절염의 운동요법이란?

  • 관절염 치료에 운동은 매우 필요합니다.
  • 일반적으로 아픈 관절은 잘 움직이지 않게 되는데 이 경우 운동부족으로 관절이 더 약해질 수 있습니다.
  • 주사치료 후 관절의 통증이 완화되고 움직임이 비교적 자유로워지면 규칙적인 운동 프로그램으로 근육, 인대 등을
    강화시켜 줘야합니다.
  • 비만은 관절에 무리한 부담을 주기 때문에 꾸준한 체중조절이 관절염 치료에 중요합니다.

퇴행성 관절염 운동에서의 주의점?

  • 전문의와 상담 후 지시를 따릅니다.
  • 편안한 자세로, 처음부터 끝까지 부드럽게 실시합니다.
  • 휴식과 운동을 조화롭게 실시합니다.
  • 격렬하고 지나친 운동은 삼갑니다.
  • 근력 강화 운동은 주 2~3회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자가운동요법

제자리 운동(제자리 다리 들기)

  1. 1. 의자에 편하게 앉습니다.
  2. 2. 한쪽다리를 90도로 들어올리고 무릎을 최대한 펴려고 힘을 줍니다.
  3. 3. 발목을 최대한 위쪽으로 젖힙니다.(*위로 젖히기 힘드실 때에는 아래로 젖힌 상태로 하세요.)
  4. 4. 하나부터 열까지 소리를 내어 세 후 다리를 천천히 내립니다.(*일부러 숨을 참고 힘을 주지 마세요.)
  5. 5. 10~20초간 잠시 쉬었다가 반대쪽 다리를 들어올려 2)~4)까지 반복하세요.
    (*두 다리를 동시에 해서는 안되며, 반드시 한쪽씩 번갈아 가면서 운동하세요)
  6. 6. 하루에 3세트씩 매일 운동하세요:1세트 하실 때 마다 위 동작을 15~20회 반복하세요.
  7. 7. 제자리 다리 들기 운동은 서서 혹은 바작에 누워서 하셔도 좋습니다.

주의하세요!
식사 직후는 주의하시고, 주로 공복 시에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근력 강화 운동(부분 쪼그리기 운동)

  1. 1. 의자 앞에 서서 양발을 어깨 너비로 벌리고 양팔을 앞으로 뻗습니다.앞쪽에 지지할 수 있는 난간이나 모서리를 이용하여 넘어지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2. 2. 엉덩이가 의자를 향하게 천천히 앉는 자세를 취합니다. "하나, 둘, 셋"을 세며 무릎을 30도 까지 구부립니다.
  3. 3. 구부리기를 멈추고 "하나, 둘"울 세며 선자세로 돌아옵니다.
  4. 4. 2~3초간 휴식한 후 반복해서 운동합니다.
  5. 이 동작은 초보자는 하루에 1~3세트, 숙련자는 3~5세트씩 운동하시고 1세트 후 1~2분간 휴식하신 다음 운동을 반복하세요.
    1세트 하실 때 위 동작을 초보자는 5~10회, 숙련자는 10~15회 반복하세요.

주의하세요!
운동을 하시면서 심한 통증을 느끼시거나 운동한 다음날 까지 통증이 남아있고, 관절이 붓거나 열감이 나는 경우에는 무리한 운동이므로 전문의와 상의하세요.

근력 강화 운동(쪼그리기 운동)

  1. 1. 다리를 어깨 너비 만큼 벌리고 어깨와 엉덩이가 벽에 닿도록 기대어 섭니다.
  2. 2. 엉덩이와 무릎을 구부리면서 무플이 30도 정도가 되도록 쪼그렸다 폅니다.(*이때 무게를 양쪽 발에 분산시킵니다.)
  3. 3. 10~15회 반복하는 것을 1세트로 하여 하루에 3세트까지 운동 합니다.
  4. 4. 2~3초간 휴식한 후 반복해서 운동합니다.

지구력 강화운동

지구력 훈련은 심박수를 증가시키는 활동을 포함하는 유산소 운동을 말합니다.
지구력운동은 환자의 심폐기능을 향상시키고, 근력을 향상시키며, 정신건강에도 도움이 되며, 관절염의 증상도 호전시킵니다.

  • 1) 효과적인 운동시간

    지구력 훈련은 적어도 하루에 30분 이상, 1주일에 3일 이상 운동해야 효과적입니다.
    관절염 환자는 일주일에 3일 이상 15분간의 유산소운동을 시작하여 매일 30분 이상으로 점차적으로 운동시간을
    늘려야 합니다.

  • 2)효과적인 운동
    • 수영과 같은 수중운동
    • 자전거운동(집에서 하는 고정식 자전거 운동)
    • 걷기운동

COPYRIGHT(c) 2014 MARYKNOLL MEDICAL CENTER. ALL RIGHT RESERVED.
부산광역시 중구 중구로 121 메리놀병원 (대청동 4가 12-9) | 대표전화 051.465.8801 | 팩스 051.465.7470